대체로 맑은 일상

[2편] HR(인사) 직무의 핵심역량 I 필요한 역량 본문

취업과 HR 사이

[2편] HR(인사) 직무의 핵심역량 I 필요한 역량

작은콜라 2023. 9. 2. 20:17

지난 편(클릭)에서는 HR(인사) 직무의 핵심역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지난 편에 이어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에 대해 추가로 얘기해 보겠습니다.

 

인사직무역량
인사직무역량

 

 

 

※ 리마인드

역량리마인드
역량리마인드

 

 필요 역량

지난 편(지난 편 확인하기)에서는 로열티,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 그리고 논리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이어서 원칙과 배려, 사람에 대한 관심 그리고 대인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1. 원칙과 배려 사이
    : 인사담당자라면 내부 규정과 법에 근거하여 사내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이 내부 규정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얼마나 편할까요? 말씀드린 것처럼 원칙을 유지하여 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쉽게 보이면서도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인사담당자라면 때로는 원칙주의자가 될 수 있어야 하며, 한편으로는 배려심을 보여줄 수 있는 유연성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모든 상황을 딱딱하게 원칙과 규정에 의거하여 대처할 필요가 없다는 말씀입니다.

    특히, 인사노무 또는 경조사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되면 본인이 알고 있던 상식이 무너질 때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원칙에 의거해서 판단하기보다는 적당한 유연성을 발휘하여 대처함이 때로는 좋은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2. 사람에 대한 관심(Feat. 사람이 좋아요)
    : 지난 편 커뮤니케이션과 더불어 면접 시에 가장 많이 듣는 답변이 '사람이 좋아서'라는 내용입니다. 다만, 저는 오히려 반대의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을 좋아서 인사를 지원한다? 차라리 B2C 서비스업 아니면 사람을 만날 수 있게 최적화되어 있는 놀이공원이 훨씬 본인에게 맞는 직장일 수도 있습니다. 기업이란 이윤을 추구하는 집단입니다. 각기 다른 상황에 따라 제도가 개선될 수도 안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즉, 좋은 사람을 만날 수도, 나와는 상극의 사람을 만날수도 있습니다. 단지 사람이 좋다는 이유만으로 접근하기에는 매우 자기 자신을 고달프게 만드는 직종입니다.

    다만, '사람' 본질에 대해서는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사람에 대한 관심과 애사심이 합쳐져 임직원의 행동변화를 관찰하고 심리적 분석을 통해 조직별 업무 특성을 파악한다면, 이는 추후 한 기업의 조직문화를 새롭게 구축하는데 굉장히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사람에 대한 접근을 새롭게 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3. 대인관계
    : 인사팀만큼 다양한 부서와 연결되어 있는 곳도 없을 것 같습니다. 인사를 담당하는 사람이라면 수많은 부서에게 도움과 협조를 요청해야 할 일이 발생하고, 그 반대로 많은 도움을 주기도 해야 합니다. 인사 담당자라면 사람을 이끌어갈 수 있는 힘이 필요로 하는데, 이는 완만한 대인관계능력을 전제조건으로 합니다. 그냥 재미로만 덧붙이자면 현업이 필요로 하는 무언가 하나를 내준다면, 추후 인사팀이 필요로 하는 무언가 하나를 가져올 수 있어야 합니다. 적절한 커뮤니케이션과 대인관계 역량으로 아찔한 줄다리기를 할 줄 알아야 합니다.

  4. 그 외: 그 외에는 가장 기본적인 인성, 보안의식 그리고 꼼꼼함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지난 1편에 이어서 오늘도 추가로 인사(hr) 직무에 필요한 역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필수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건설적인 토론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1편] HR(인사) 직무의 핵심역량 I 필요한 역량

인사(HR) 직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의사소통, 꼼꼼함, 헌신성 그리고 논리력 등 역량을 나열하자면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HR(인사) 직무의 필요한 역량에 대

kanghous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