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HR
- 지원동기
- HR역량
- LH청년전세임대신청방법
- LH청년전세임대
- 자기소개서
- 채용
- 임영웅콘서트예매
- 면접준비
- 속쓰림
- 면접답변
- 채용업무
- 인사핵심역량
- 프로바이오틱스
- 인사업무
- 취업
- 시그널플래너
- 인사취업
- 면접질문
- HR취업
- 인사팀취업
- 인사
- 락티브
- 임영웅콘서트
- 점심졸음
- LH청년전세임대대출조건
- 보험상담
- 알뜰교통카드신청
- 인사직무역량
- 취업준비
Archives
- Today
- Total
대체로 맑은 일상
[1편] HR(인사) 직무의 핵심역량 I 필요한 역량 본문
인사(HR) 직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의사소통, 꼼꼼함, 헌신성 그리고 논리력 등 역량을 나열하자면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HR(인사) 직무의 필요한 역량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1. 필요한 역량이 있나요?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인사직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은 없다'입니다. 읽으시는 분들은 참 웃기다고 생각하실 것 같습니다. 정확히 얘기하자면 지금 여러분이 머릿속에 떠오르는 역량 모두 필요한 자질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편할 것 같습니다. 이유는 모두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기업에서 그리고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인사팀에서 생각하는 역량의 우선순위가 같을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① 나 스스로가 생각하는 중요한 역량은 무엇이며 ② 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가 가장 핵심입니다. 즉, 본인은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인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지원자/면접자가 되어야 합니다.
2. 역량 종류
아래 내용은 각 역량에 따라 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한 번 적어봤습니다.
- 로열티
: 회사에 대한 로열티는 비단 HR 뿐만 아니라 모든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량 중 하나입니다. 애사심은 회사에 대한 관심이며, 이는 곧 개인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최종적으로는 기업의 발전으로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과연 인사에서의 애사심은 왜 중요한 것일까요? 인사는 임직원이 입사를 하는 시점부터 퇴사를 하는 시점까지 직원들이 최대한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입니다. 회사에 대한 관심이 없고, 불만만 가득한 직원이 어떻게 전사 임직원이 필요로 하는 제도를 만들 수 있으며, 개편할 수 있을까요? 인사팀마저 로열티가 없다면 누가 회사를 신뢰하고 믿을 수 있을까요? - 커뮤니케이션 / 소통
: 아마 면접장에서 들을 수 있는 가장 많은 답변 중 하나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100% 동의합니다. 인사담당자는 굉장히 많은 사람들과 소통해야 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과장해서 보태자면 내부 임직원한테서 전화가 올 때는 대부분 좋은 일이 아닙니다. 이런 경우 상황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마무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복리후생/보상/평가/징계 등 업무를 하다 보면 부서장/본부장에 위치한 임원분들과 얘기해야 할 일도 빈번합니다. 그 외로 인사직무 업무 중 하나는 인사기획/인사제도에 대한 것이 있는데, 같은 내용이라도 어떻게 설명하느냐에 따라 받아들이는 모습이 180도 달라집니다. 잘못된 의사소통으로 인해 엄청난 파장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도 기억해 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수많은 인사담당자와 얘기하다 보면 대부분 항상 답변을 애매모호하게 해 주시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ㅎㅎㅎㅎ) - 논리
: 참 어려운 역량입니다. 위에서 잠시 말씀드린 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인사 담당자는 큰 틀에서 회사 내 인사제도를 유지하고 개편하는 역할을 합니다. 적게는 몇 십 명, 많게는 몇 천명의 임직원 대상으로 적용되는 제도를 만들거나 또는 개편한다 했을 때 어떠한 논리를 근거해 설득하시겠습니까? 단순히 정말 사소한 내용이라고 할지라도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통해 설득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이라면 취업규칙과 인사규정이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상 두 가지 내용은 근로기준법 등 노동기준법 내용에 근거해 작성됩니다. 즉, 이러한 내용을 근거로 하여 직원들이 납득이 갈 만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재밌는 사소한 얘기를 해보자면,
어느 날 한 직원분한테 이런 문의가 들어왔습니다.
"오늘 종일 연차를 썼는데, 급한 사정으로 인해 오후에 3시간을 일했어요. 그러면 전 오늘 11시간 일한 것이 아닌가요"
과연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답변하시겠습니까?
오늘은 로열티,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논리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원칙과 배려, 사람에 대한 관심, 대인관계에 대한 내용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역량은 정답이 없습니다. 나 자신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만 있을 뿐입니다. 여러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면 그것이 바로 인사(HR)에 필요한 역량입니다.
반응형
'취업과 HR 사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취업준비생, 나는 어떻게 공부했나? - 경험정리 (0) | 2023.09.09 |
---|---|
[2편] HR(인사) 직무의 핵심역량 I 필요한 역량 (0) | 2023.09.02 |
[취업준비] 면접 답변 시 이것만은 하지 말자 I 금기사항 (0) | 2023.08.27 |
[취업준비] 면접 가이드 I 면접질문 I 답변 방법 (0) | 2023.08.27 |
[취업준비] 자기소개서 지원동기 예시 샘플 (0) | 2023.08.16 |